KAL 007기 격추사건(Korean Air Lines Flight 007)
러시아
대한민국
사건기간 : 1983년 9월 1일, 조회수 : 199, 등록일 : 2023-07-16
1983년 9월 1일 오전 12시 05분(미국 뉴욕시간) 뉴욕 JFK국제공항을 출발하여 급유를 위하여 앵커리지를 경유해서 김포국제공항으로 오던 대한항공(KAL) 007 여객기가 당시 소련의 영공인 [1]사할린에서 소련 전투기의 공격을 받아 인근바다에 추락하여 탑승자 269명 전원이 사망했다.
KAL 007 여객기는 오전 2시 5분(사할린 시간)경 규정된 항로보다 위쪽의 [3]캄차카반도 북동쪽으로 진입하여 3시 30분에 소련 영공으로 진입하였다가 4시 28분 공해상으로 빠져나왔다. 이후 다시 [1]사할린 상공으로 진입하자 5시 25분경 소련 전투기가 미사일 두발을 발사하였다. 공격을 받은 KAL 007기는 일정시간 나선형을 그리며 급강하하면서 [2]모네론섬 인근바다에 추락하였다.
여객기의 연료절감 및 경제적인 비행때문에 고도를 올리는데, 이 당시 조종사는 주변이 너무 어두워 소련 영공상으로 침범했다는 것을 느끼지 못했을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추측하고 있다.
소련은 사건발생 일주일이 지나서야 격추사실을 밝혔으며 수거한 유해와 잔해들을 은폐하였다. 특히 블랙박스를 수거한 사실조차 숨겼다가 소련붕괴이후 10년이 지난 1992년에 관련자료를 공개하였다. 이 자료를 토대로 [5]국제민간항공기구의 정식 보고서에서 KAL 007기는 조종사의 항법 실수로 소련 영공에 진입했고, 이를 미국 정찰기로 혼동한 소련 전투기의 실수가 겹쳐 발생한 사건이라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군용기라도 위협적이지 않다면 무기개입을 하지 않는 것이 원칙으로 하고있다고 한다. 그럼에두 불구하고 민간항공기의 격추는 정찰기로 의심한 소련이 매우 민감하게 대응한 매우 이례적인 상황으로 전문가들은 판단하고 있다. 또한 당시는 미국 정찰기인 [4]RC-135기가 수도 없이 출몰하던 때였고, 냉전시대 소련의 분위기도 날카로웠던 시기였다. 또한 RC-135는 보잉747와 비슷하여 식별이 불가능한 캄캄한 영공상에서 충분히 착각을 할 수 있다는 결론이 나올 수도 있다.
KAL 007기 격추사건은 당시 미소냉전의 시대적, 국제적인 배경으로 강대국의 냉전이 제3세계인 대한민국의 비극적인 영향을 주었던 사건이었다.
40여년이 지난 지금도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는 사건으로 남은 사람의 아픔은 계속되고 있다.
이 사건을 계기로 GPS정보가 민간에 개방되었으며 사건 전까지만 해도 항공기는 정확도가 떨어지는 [6]관성항법시스템을 사용해 위치를 가늠했다고 한다. 이후 GPS를 사용하면서 위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었다.
[1] 사할린(Sakhalin) : 북태평양에 있는 러시아의 섬으로 타타르 해협과 오호츠크 해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러시아에서 가장 큰 섬
[2] 모네론섬(Moneron Island) : 러시아의 사할린 섬에서 떨어진 작은 섬
[3] 캄차카 반도(Kamchatka Peninsula) : 동쪽의 태평양과 서쪽의 오호츠크해 사이에 있는 러시아 극동지역의 반도
[4] 보잉 RC-135(Boeing RC-135) : 미국 공군의 대형 정찰기. 1961년부터 32대가 생산되어 현재도 사용중이다
[5] 국제민간항공기구(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ICAO) : 유엔 산하 전문기구로, 국제 항공 운송에 필요한 원칙과 기술 및 안전에 대해 모든 회원국이 준수해야 할 표준과 권고를 제정한다
[6] 관성항법시스템(INS : Inertial Navigation System) : 운반체의 운동을 감지하는 관성센서(자이로 및 가속도계)출력으로부터 운반체의 속도, 위치 및 자세 등의 항법정보를 계산해 내는 장치
KAL 007 여객기는 오전 2시 5분(사할린 시간)경 규정된 항로보다 위쪽의 [3]캄차카반도 북동쪽으로 진입하여 3시 30분에 소련 영공으로 진입하였다가 4시 28분 공해상으로 빠져나왔다. 이후 다시 [1]사할린 상공으로 진입하자 5시 25분경 소련 전투기가 미사일 두발을 발사하였다. 공격을 받은 KAL 007기는 일정시간 나선형을 그리며 급강하하면서 [2]모네론섬 인근바다에 추락하였다.
여객기의 연료절감 및 경제적인 비행때문에 고도를 올리는데, 이 당시 조종사는 주변이 너무 어두워 소련 영공상으로 침범했다는 것을 느끼지 못했을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추측하고 있다.
소련은 사건발생 일주일이 지나서야 격추사실을 밝혔으며 수거한 유해와 잔해들을 은폐하였다. 특히 블랙박스를 수거한 사실조차 숨겼다가 소련붕괴이후 10년이 지난 1992년에 관련자료를 공개하였다. 이 자료를 토대로 [5]국제민간항공기구의 정식 보고서에서 KAL 007기는 조종사의 항법 실수로 소련 영공에 진입했고, 이를 미국 정찰기로 혼동한 소련 전투기의 실수가 겹쳐 발생한 사건이라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군용기라도 위협적이지 않다면 무기개입을 하지 않는 것이 원칙으로 하고있다고 한다. 그럼에두 불구하고 민간항공기의 격추는 정찰기로 의심한 소련이 매우 민감하게 대응한 매우 이례적인 상황으로 전문가들은 판단하고 있다. 또한 당시는 미국 정찰기인 [4]RC-135기가 수도 없이 출몰하던 때였고, 냉전시대 소련의 분위기도 날카로웠던 시기였다. 또한 RC-135는 보잉747와 비슷하여 식별이 불가능한 캄캄한 영공상에서 충분히 착각을 할 수 있다는 결론이 나올 수도 있다.
KAL 007기 격추사건은 당시 미소냉전의 시대적, 국제적인 배경으로 강대국의 냉전이 제3세계인 대한민국의 비극적인 영향을 주었던 사건이었다.
40여년이 지난 지금도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는 사건으로 남은 사람의 아픔은 계속되고 있다.
이 사건을 계기로 GPS정보가 민간에 개방되었으며 사건 전까지만 해도 항공기는 정확도가 떨어지는 [6]관성항법시스템을 사용해 위치를 가늠했다고 한다. 이후 GPS를 사용하면서 위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었다.
[1] 사할린(Sakhalin) : 북태평양에 있는 러시아의 섬으로 타타르 해협과 오호츠크 해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러시아에서 가장 큰 섬
[2] 모네론섬(Moneron Island) : 러시아의 사할린 섬에서 떨어진 작은 섬
[3] 캄차카 반도(Kamchatka Peninsula) : 동쪽의 태평양과 서쪽의 오호츠크해 사이에 있는 러시아 극동지역의 반도
[4] 보잉 RC-135(Boeing RC-135) : 미국 공군의 대형 정찰기. 1961년부터 32대가 생산되어 현재도 사용중이다
[5] 국제민간항공기구(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ICAO) : 유엔 산하 전문기구로, 국제 항공 운송에 필요한 원칙과 기술 및 안전에 대해 모든 회원국이 준수해야 할 표준과 권고를 제정한다
[6] 관성항법시스템(INS : Inertial Navigation System) : 운반체의 운동을 감지하는 관성센서(자이로 및 가속도계)출력으로부터 운반체의 속도, 위치 및 자세 등의 항법정보를 계산해 내는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