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인양요(丙寅洋擾)
대한민국
프랑스
사건기간 : 1866년 10월 26일 ~ 1866년 12월 17일, 조회수 : 299, 등록일 : 2020-02-06
1866년([1]고종 3년)에 [2] 흥선대원군의 천주교 탄압인 병인박해로 프랑스 신부가 사망하자, 이를 구실로 프랑스의 [3] 로즈 제독은 함대 7척을 이끌고 강화도를 점령하였다. 그리고 프랑스 신부를 처형한 자에 대한 처벌과 통상수교를 요구했다.
조선의 흥선대원군은 로즈 제독의 요구를 묵살한 뒤 무력으로 대항하며 강화도 곳곳에서 교전이 일어났다. 교전이 계속되자 프랑스군은 더 이상의 교전은 불리하다고 판단하여 철수를 결정했다.
프랑스군은 퇴각하면서 점령했던 [4] 강화성을 파괴하고 관아에 불을 지르고 [5] 외규장각 의궤, 서적등 각종 문화재를 약탈해 갔다. 프랑스군은 강화도를 점령후 40여 일 만에 물러났다.
프랑스가 병인양요를 일으킨 이유는 천주교 박해에 대한 보복을 구실로 조선의 문호를 개방시키려는 것이었다. 이 사건으로 조선은 천주교에 대한 탄압이 더욱 거세졌고 조선의 쇄국정책은 한층 강화되었다.
병인양요는 병인년에 양이(洋夷 : 서양 오랑캐)가 일으킨 소요(騷擾)라는 뜻이다.
[1] 고종(1852~1919) : 조선의 제26대 마지막 왕(재위 : 1864년~1897년).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재위:1897년~1907년)
[2] 흥선대원군(1821년~1898년) : 대한제국 고종 황제의 친아버지. 본명은 이하응
[3] 피에르귀스타브 로즈(Pierre-Gustave Roze, 1812년~1882년) : 프랑스의 해군 제독
[4] 강화성 : 현재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에 위치한 고려궁지이며 고려시대 몽골 침입 당시에 사용하던 고려 궁궐터
[5] 외규장각 : 조선 정조때 왕실관련 서적을 보관할 목적으로 설치된 곳
조선의 흥선대원군은 로즈 제독의 요구를 묵살한 뒤 무력으로 대항하며 강화도 곳곳에서 교전이 일어났다. 교전이 계속되자 프랑스군은 더 이상의 교전은 불리하다고 판단하여 철수를 결정했다.
프랑스군은 퇴각하면서 점령했던 [4] 강화성을 파괴하고 관아에 불을 지르고 [5] 외규장각 의궤, 서적등 각종 문화재를 약탈해 갔다. 프랑스군은 강화도를 점령후 40여 일 만에 물러났다.
프랑스가 병인양요를 일으킨 이유는 천주교 박해에 대한 보복을 구실로 조선의 문호를 개방시키려는 것이었다. 이 사건으로 조선은 천주교에 대한 탄압이 더욱 거세졌고 조선의 쇄국정책은 한층 강화되었다.
병인양요는 병인년에 양이(洋夷 : 서양 오랑캐)가 일으킨 소요(騷擾)라는 뜻이다.
[1] 고종(1852~1919) : 조선의 제26대 마지막 왕(재위 : 1864년~1897년).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재위:1897년~1907년)
[2] 흥선대원군(1821년~1898년) : 대한제국 고종 황제의 친아버지. 본명은 이하응
[3] 피에르귀스타브 로즈(Pierre-Gustave Roze, 1812년~1882년) : 프랑스의 해군 제독
[4] 강화성 : 현재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에 위치한 고려궁지이며 고려시대 몽골 침입 당시에 사용하던 고려 궁궐터
[5] 외규장각 : 조선 정조때 왕실관련 서적을 보관할 목적으로 설치된 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