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0총선거

대한민국 사건기간 : 1948년 5월 10일, 조회수 : 413,   등록일 : 2022-01-16
1948년 5월 10일은 대한민국 제헌국회를 구성하기 위하여 국회원 총선거가 실시되었으며 민주주의의 출발점이었고 대한민국 정부 수립의 시작이었다.

유엔의 결의에 의거하여 보통·평등·비밀·직접의 4대 원칙을 수용한 민주주의 제도로 한국대표 및 유엔한국임시위원단은 남북 총선거 실시를 발표하였다.

남북한을 통하여 인구비례에 의한 선거로 300석의 국회의원을 선출할 방침이었으나, 북한지역의 선거불가능으로 북한지역 할당의석 수 100석을 유보해 두고 남한에서의 의석 수를 200석으로 할당하여 남한만의 총선거를 실시하였다.

유권자 등록기간을 설정하여 총유권자(813만2517명)중에 96.4%에 해당하는 784만871인이 선거인 명부에 등재되었다. 이 중에 95.5%가 투표에 참가했으며, 이는 역대 선거사상 최고의 투표율로써 정부 수립이라는 염원이 지대하다는 것을 단적으로 증명해 주었다.

그 해 5월 31일에 선거위원회의 소집에 의하여 한국헌정사상 최초로 제헌의회가 개원되었고, 국회의장에 이승만, 부의장에 신익희를 선출하였다

제헌국회는 7월 17일 헌법을 제정하고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를 수립했다. 이후 북한은 9월 9일 정부를 수립한다.

한국사에서 최초로 자유 다당제를 정착시킨 사례이며 성공적으로 자유민주적 방식으로 공직자를 선출한 사례이기도하였으나 남한만의 단독 선거라는 한계로 많은 아쉬움이 남는 선거였다.

이 선거는 1948년 5월 9일로 예정되어 있었으나 그 날이 일요일이라 교회에 나가는 사람이 많다는 의견과 5월 9일은 한반도를 통과하는 일식이 예정되어 있어 5월 10일로 하루 연기되었다.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위키피디아, 나무위키

Copyright 2020 TMSTOR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