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미수호통상조약
미국
대한민국
중국
사건기간 : 1882년 5월 22일, 조회수 : 294, 등록일 : 2021-07-31
1880년에 제2차 수신사로 파견된 김홍집이 청의 외교관 황준헌(황쭌셴)의 '조선책략'을 국내에 가지고 돌아왔으며 내용은 러시아의 서양 공략을 막기위하여 조선은 중국을 가까이하며 일본과 관계를 공고히 하고 미국과 연계하여 자강을 도모해야 한다. 이며 이는 곧 '친중국','결일본','연미국'으로 정리된다.
청은 조선에 대한 종주권을 확인받고 러시아와 일본을 견제하기 위하여 조선과 미국의 수교를 주선하였다. 미국과 수교를 맺는데 '조선책략'의 영향이 컸다고 한다.
제물포에서 이홍장이 중재하는 가운데 조선 측에서는 신헌, 김홍집이 전권대사로, 미국 측은 전권위원 로버트 슈펠트가 참가한 가운데 조약이 체결되었다.
이 조약은 조선이 구미 국가와 맺은 최초의 수호 통상 조약이다.
조약의 내용은 앞서 맺은 조일수호조규에 비해 상대적으로 대등한 항목이 많았다. 그것은 일본을 견제하기 위해 청나라가 조약 초안 작성에 직접 개입했고, 미국이 동아시아에 개입이나 관심 정도가 아직까지 미약했기 때문이었다. 물론 미국은 최혜국 대우 조항으로 인해 후일 구미 국가와 같은 조건으로 조선에서의 제반 권리를 향유하게 된다.
이 조약을 통해 조선은 국제사회에서 주권국가로 인정받게 되었으며, 이를 계기로 구미 선진 문물을 받아들일 수 있는 길이 열렸다.
* 로버트 윌슨 슈펠트(Robert Wilson Shufeldt, 1822년~1895년) : 미국의 해군 제독이자 외교관
* 이홍장(리훙장, 1823년~1901년) : 청나라 조정 말기의 한족계 정치가로 부국강병을 위하여 청나라 양무운동 등을 주도한 인물
* 신헌(1810년~1884년) : 조선 말의 무신이자 외교관
* 김홍집(1842년~1896년) : 조선의 마지막 영의정이자 조선 최초의 내각총리대신. 온건개화파
* 황준헌(1848년~1905년) : 중국 청나라의 외교관 겸 정치가
청은 조선에 대한 종주권을 확인받고 러시아와 일본을 견제하기 위하여 조선과 미국의 수교를 주선하였다. 미국과 수교를 맺는데 '조선책략'의 영향이 컸다고 한다.
제물포에서 이홍장이 중재하는 가운데 조선 측에서는 신헌, 김홍집이 전권대사로, 미국 측은 전권위원 로버트 슈펠트가 참가한 가운데 조약이 체결되었다.
이 조약은 조선이 구미 국가와 맺은 최초의 수호 통상 조약이다.
조약의 내용은 앞서 맺은 조일수호조규에 비해 상대적으로 대등한 항목이 많았다. 그것은 일본을 견제하기 위해 청나라가 조약 초안 작성에 직접 개입했고, 미국이 동아시아에 개입이나 관심 정도가 아직까지 미약했기 때문이었다. 물론 미국은 최혜국 대우 조항으로 인해 후일 구미 국가와 같은 조건으로 조선에서의 제반 권리를 향유하게 된다.
이 조약을 통해 조선은 국제사회에서 주권국가로 인정받게 되었으며, 이를 계기로 구미 선진 문물을 받아들일 수 있는 길이 열렸다.
* 로버트 윌슨 슈펠트(Robert Wilson Shufeldt, 1822년~1895년) : 미국의 해군 제독이자 외교관
* 이홍장(리훙장, 1823년~1901년) : 청나라 조정 말기의 한족계 정치가로 부국강병을 위하여 청나라 양무운동 등을 주도한 인물
* 신헌(1810년~1884년) : 조선 말의 무신이자 외교관
* 김홍집(1842년~1896년) : 조선의 마지막 영의정이자 조선 최초의 내각총리대신. 온건개화파
* 황준헌(1848년~1905년) : 중국 청나라의 외교관 겸 정치가